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오블완
- 아두이노
- WSL2
- Puck LITE
- U-blox
- C++
- 자율탐사
- ROS2
- 강화학습
- SLAM
- 인공지능
- Simulation
- ROS
- QT
- 로봇
- Visual SLAM
- turtlebot3
- RTK
- 터틀심
- turtlesim
- ubuntu
- 자율주행
- 젯슨
- Jetson
- ZED2
- GUI
- GPS
- 티스토리챌린지
- WSL
- Gazebo
- Today
- Total
목록공학/로봇 (7)
직관적인느낌
"std::vector" : C++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동적 배열을 구현하는 템플릿 클래스입니다. 배열과 마찬가지로, 벡터는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요소를 저장합니다. 그러나 벡터의 크기는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실행 중에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. "std::vector"의 주요 기능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 동적 크기: std::vector는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실행 중에 데이터의 양이 변경될 수 있는 많은 프로그래밍 상황에서 유용합니다. 랜덤 액세스: std::vector는 배열과 마찬가지로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므로,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 메모리 관리: std::vector는 메모리 할당 ..
FSM(Finite State Machine)은 유한 상태 기계를 의미하며, 이는 특정한 수의 상태를 가지고 있고, 이벤트(또는 조건)에 따라 상태를 전환하는 수학적 모델을 말합니다. FSM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, 이는 - Mealy Machine과 - Moore Machine입니다. Mealy Machine : 이 FSM은 현재 상태와 입력에 기반하여 출력을 결정합니다. 즉, 같은 상태에서도 입력에 따라 출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Moore Machine : 이 FSM은 현재 상태에만 기반하여 출력을 결정합니다. 같은 상태에서는 어떤 입력이 들어오든 간에 출력은 항상 동일합니다. 상태(State): FSM의 각 단계를 나타냅니다. 각 상태는 입력에 따라 다른 상태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. ..
1.Environment Laptop H.W CPU : i7 GPU : GTX 1650 RAM : 16GB OS Ubuntu : 20.04 ROS : ROS1 Noetic Source https://github.com/unitreerobotics/z1_ros GitHub - unitreerobotics/z1_ros: ros package for z1 simulation ros package for z1 simulation. Contribute to unitreerobotics/z1_ro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 github.com https://github.com/unitreerobotics/z1_ros/blob/noetic/doc/usage.m..
자율주행 로봇 회사로 유명한 clearpath에서 로봇 구조를 공개했다. 로봇 개발자들에게는 도움이 될듯하다. 특징 1. PR2 Cable Drawings 2. PR2 Electrical Manufacturing Files 3. PR2 Schematics 4. PR2 CAD Files PR2 | Clearpath Robotics Documentation This page provides links to the design files for the PR2 robot, designed by Willow Garage. docs.clearpathrobotics.com
- payload 5kg - 다리 모양 구조 파악 출처: 보행로봇 공학의 이해_저자:박성호 - 수학적 기초 - 보행 로봇 시스템 - 보행 로봇의 운동학 - 보행 로봇의 모델링 +) 보행 로봇의 장애물 횡단 +) 동역학적 장애물 횡단
- 견의 보행(Locomotion - naver) -DGIST 캠퍼스 생활 안전을 위한 4족 보행로봇 개발 - 강화학습을 이용한 보행 로봇 제어(황보제민_KAIST 기계공학과) - openDog V2(James Bruton -youtube) - 4족 애완로봇을 위한 보행운동 계획 - 4족 보행로봇 기구부 설계 및 제어에 관한 연구
출처:http://www.bellahusk.com/en/home.html : 두 다리가 조금 넓은 A자 형태로 좌우 벌어져 있다. 그 결과 '엉금엉금' 기어가듯이 걷는다. 끄는 힘을 극대화한 하역견을 탄생시키기 위해, 뒷다리가 약간 벌어져 있는 골격이 무거운 중량의 짐이나 썰매를 끌 때 훨씬 유리하다는 사실. 지나치게 긴 다리도 오랜 시간 썰매를 끌어야하는 사역견의 임무에 알맞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큰 힘과 지구력을 감당할 수 있는, 오늘날 우리의 눈에 약간은 '짧아 보이는' 이상적인 썰매견의 다리 길이가 탄생했다. 출처: https://brunch.co.kr/@ossian/115 +) Keyword: weight pulling dogs source: https://robots.ieee.org/robot..